기능 FAQ-F069 : 오렌지 사용중에 두번에 한번꼴로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오렌지 폴더에서 SQLCache.log 파일의 크기를 확인하시고 해당 파일이 너무 클경우 삭제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 파일은 현재까지 실행한 SQL 구문을 최대값 까지 저장하는 기능의 파일로 SQL Tool의 Option 창의 SQL Cache 의 Max Count 값을 줄여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사용하는 SQL일 경우는 SQL Cache 보다 Named  기능을 사용하여 저장하셔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버전별로 파일의 위치입니다.

* Orange 7.0           : C:\사용자\[윈도우계정]\AppData\Local\WareValley\[Orange 설치 폴더명]\log 폴더

* Orange 6.0           : C:\Program Files(x86)\WareValley\[Orange 설치 폴더명]\log폴더

* Orange 5.0           : C:\Program Files(x86)\WareValley\[Orange 설치 폴더명]\log 폴더

* Orange 4.0 이하    : C:\Program Files(x86)\WareValley\[Orange 설치 폴더명]\DATA폴더

 

기능 FAQ-F067 : SQL Tool에서 쿼리를 실행하였는데 한글 데이타가 깨져 보입니다.

한글 데이터가 깨지는 것은 폰트 문제와 DB문자셋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폰트문제일 경우,Fixedsys 변종폰트가 원인일수 있습니다. 윈도우즈 기본 폰트폴더(C:\Windows\Fonts)에 Fixedsys 

변종폰트가 존재하는 경우 한글이 깨져보이는데 해당 변종 폰트를 삭제하거나 

Fixedsys 이외의 폰트를 사용하시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DB문자셋이 US7ASCII 일 경우 PC 레지스트리의 NLS_LANG도 US7ASCII 로 설정하셔야 하며, 

유니코드용 오렌지를 사용하셔도, 동일하게 한글이 깨져 보일 수 있습니다.

기능 FAQ-F066 : SQL 수행 시, Exectuion time 과 Elapsed Time 차이는 뭔가요?

Execution time은 쿼리가 실행된 시간을 의미하고,

Elapsed time은 결과가 Fetch되는 동안의 수행 시간을 의미합니다.

기능 FAQ-F065 : SQL Tool에서 Edit Mode로 쿼리를 실행하였으나 데이타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특정 테이블을 수정모드로 전환하려면 테이블에 Primary key 혹은 Unique 칼럼이 존재해야 합니다.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아래 문장처럼 rowid 라는 의사(pseudo) 칼럼을 사용해야 합니다.

select rowid, e.* from emp e; (Oracle 기준)

기능 FAQ-F064 : 오렌지 4.0 이하 버전에서 SQL Tool에서 SQL 실행 후 툴바에서 edit mode 버튼을 눌렀는데 edit mode가 되지 않습니다.

툴바에서 먼저 edit mode를 선택하고 나서 SQL을 실행하셔야 합니다.

오렌지 5.0 이상 버전에서는 run edit mode 기능으로 edit mode 실행이 가능합니다.

기능 FAQ-F063 : 비스타환경에서 오렌지 3.x 버전을 사용중인 경우 쿼리 실행시 오렌지가 응답없음으로 되어버립니다.

3.1.5.5 이상 패치를 하셔야 합니다.

기능 FAQ-F062 : US7ASCII 지원 버전은 몇버전까지 되나요? unicode, ansi 만 구분해서 설치하면 오렌지 최신버전을 설치해도 문제가 없는지 문의드립니다.

US7ASCII에 대한 지원정책을 변경하거나 하지 않습니다.

unicode와 ansi 구분에 따라 오렌지를 설치하여 사용상에 문제가 없다면, 지속적으로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기능 FAQ-F061 : 컴파일시 에러 내용이 안보이고 Warning으로 끝납니다. 이런 경우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알수 없습니다. "PL/SQL Created With Warning"이라고만 상태바에 보여지는데, 에러를 찾는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컴파일시 에러를 볼수 있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PL/SQL의 경우 오라클에 저장된 SYS.DBA_ERRORS 또는 SYS.ALL_ERRORS에 저장된 Error 또는 Warning 데이터를 조회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Create with warning으로 표현되고 Warning값에 대한 표현이 되지 않는 경우, Oracle의 PLSQL_WARNINGS 값의 변경을  필요로 합니다.

기본 값인 'DIABLE:ALL'이라해도 Error의 경우 SYS.DBA_ERRORS 또는 SYS.ALL_ERRORS에 에러상황을 저장하지만 Warning의 경우 저 값을 'ENABLE:ALL'값으로 설정해야 SYS.DBA_ERRORS 또는 SYS.ALL_ERRORS에 warning 메시지가 저장됩니다.

일반적으로 세션 파라미터로 저장되므로, 

alter session set plsql_warnings = 'ENABLE:ALL'; 

로 설정하시거나, Orange의 DB Information Tool을 통해서 Session Parameter 에서 값을 변경하신후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기능 FAQ-F052 : Plan Tool에서 Local 파일로 선택했을 때 Network 맵핑된 드라이브가 보이지 않습니다.

Windows Vista 이상의 OS에서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의 등급이 높은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특정 레지스트리 값을 하나 추가하고 재부팅하시기 바랍니다. 

Registry 편집기를 이용하여, HKEY_LOCAL_MACHINE\ SOFTWARE\ 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으로 이동합니다.

DWORD타입으로 EnableLinkedConnections 라는 이름의 키를 추가합니다.

 EnableLinkedConnections의 값은 1로 입력한후 PC를 재부팅합니다.

참고 : http://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ee844140(v=ws.10).aspx

기능 FAQ-F051 : 실행계획(Plan Tool)에서 COST, CARD, BYTE의 의미를 알려주십시요.

cost, card, byte는 CBO(cost based optimizer) 가 사용될 경우 실행계획에 나타납니다.

 

* cost는 어떤 특별한 측정 단위가 아니고 비용기반 옵티마이저가 하나의 SQL에 대해 여러 개의 실행계획을 작성하여  

  그 중 최적의 실행계획을 추출하기 위해 생성된 실행계획간에 비교하기 위한 편의상의 단위입니다.  

  cost가 낮은 경우 좋은 성능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항상 그러하지는 않습니다)

* card는 각 실행계획 단계에서 access된 row 수를 의미합니다.

* byte는 각 실행계획 단계에서 access된 byte 수를 의미합니다. 

 

Oracle의 Explain Plan에 대해 검색하여 보시면 더 자세한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